최근 미국의 경제 상황은 여러 지표를 통해 경기침체의 징후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9월 실업률이 4.3%로 급등하면서 경기 둔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미국의 금리 인하가 가속화되고 있으며, 이는 통화 정책의 전환을 나타냅니다.
미국,일본, 브라질을 제외한 대부분의 국가인 중국, 한국, 유럽 침체에서 헤어나오지 못하는 상황으로 미국을 제외한 모든 국가들이 금리 인하를 준비하고 이제는 물가보다 저성장을 탈피하고자 하는 통화 정책으로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1. 금리 인하 배경
미국 연준(FED)은 올해 두 차례에 걸쳐 총 100bp의 금리를 인하했습니다. 이는 높은 부채와 경제 성장률을 유지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금리 인하가 경기 회복으로 이어질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2. 물가 및 인플레이션
최근 발표된 소비자 물가 지수(CPI) 및 생산자 물가 지수(PPI)는 예상을 웃도는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스태그플레이션의 가능성을 시사하며, 물가가 다시 상승할 수 있다는 두려움을 낳고 있습니다. 그러나 주거비의 안정화와 함께 상품 가격의 변동성이 크다는 점에서, 지속적인 물가 상승은 어려울 것으로 전망됩니다.
3. 채권 시장의 반응
채권 시장은 금리 인하에 대한 반응으로 변동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10년물 채권 금리는 경기침체 시기에 급격히 하락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투자자들이 안전자산으로 이동하기 때문입니다. 10년물 금리가 4.5%를 넘는다면, 투자자들은 매력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이번주 미국 국채 금리는 큰 변동은 없었지만 채권변동성지수(MOVE지수)의 경우 높은 변동성의 가능성을 이야기하고 있는데요.
- 미국 국채 10년물 수익률은 4.394%로 주간 강세로 전환했다. 이번주 경기지표가 안정적으로 나오면서 시장에서 트럼플레이션(Trumflation)에 대한 우려감이 완화됐지만, 18일 연준의 기준금리 결정을 앞두고 관망하고 있는 분위기이죠...
4. 향후 전망
12월 18일 25bp 기준금리 인하를 단행할 것으로 전망된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의 페드워치(FedWatch)는 12월 18일 회의에서 금리 인하 가능성을 99.6%로 예상하고 있다. 연준은 연말까지 점도표인 4.375%를 따를 것으로 보이며, 2025년 트럼프 행정부 출범에 따라 금리인하 정책을 수정할 듯 합니다.
미국의 통화 정책과 일본의 통화 정책이 향후 경제 흐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미국의 금리가 하락함에 따라 자산 시장에서의 돈들이 급격하게 이동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장기 채권으로의 자금 유입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으며, 그대신 주식시장의 조정의 빌미가 될수도 있습니다.
한줄평:미국 채권 시장이 미래는 경기침체의 압박 속에서 불안정한 물가와 금리 인하의 경계에 놓여 있다.
'주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약 주식 하락장을 미리 알 수 있다면 우리가 매수 해야 할 1순위 지수 ETF를 알아보자. (2) | 2024.12.16 |
---|---|
플러그 파워, 수소 시장의 미래를 선도할까? 실적 분석과 전망 (2) | 2024.12.15 |
MOVE 지수: 미국 채권 시장의 변동성을 측정하는 핵심 지표와 미국 국채 시장 분석 (0) | 2024.12.15 |
정치적 격변 속에서의 기회: 신흥 재벌의 탄생(가상 시나리오) (3) | 2024.12.15 |
12월16일 주식장 정치 불안정성 속 투자 전략: 2024년 탄핵 사건을 분석하다 (6) | 2024.12.15 |